알고리즘141 ❗️[Baekjoon] 1766. 문제집 ( 위상정렬 ) # Problem 민오는 1번부터 N번까지 총 N개의 문제로 되어 있는 문제집을 풀려고 한다. 문제는 난이도 순서로 출제되어 있다. 즉 1번 문제가 가장 쉬운 문제이고 N번 문제가 가장 어려운 문제가 된다. 어떤 문제부터 풀까 고민하면서 문제를 훑어보던 민오는, 몇몇 문제들 사이에는 '먼저 푸는 것이 좋은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예를 들어 1번 문제를 풀고 나면 4번 문제가 쉽게 풀린다거나 하는 식이다. 민오는 다음의 세 가지 조건에 따라 문제를 풀 순서를 정하기로 하였다. N개의 문제는 모두 풀어야 한다. 먼저 푸는 것이 좋은 문제가 있는 문제는, 먼저 푸는 것이 좋은 문제를 반드시 먼저 풀어야 한다. 가능하면 쉬운 문제부터 풀어야 한다. 예를 들어서 네 개의 문제가 있다고 하자. 4번 문.. 2021. 4. 20. [Baekjoon] 1927. 최소 힙 # Problem 널리 잘 알려진 자료구조 중 최소 힙이 있다. 최소 힙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산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배열에 자연수 x를 넣는다. 배열에서 가장 작은 값을 출력하고, 그 값을 배열에서 제거한다. 프로그램은 처음에 비어있는 배열에서 시작하게 된다. 입력 첫째 줄에 연산의 개수 N(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다음 N개의 줄에는 연산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정수 x가 주어진다. 만약 x가 자연수라면 배열에 x라는 값을 넣는(추가하는) 연산이고, x가 0이라면 배열에서 가장 작은 값을 출력하고 그 값을 배열에서 제거하는 경우이다. 입력되는 자연수는 231보다 작다. 출력 입력에서 0이 주어진 회수만큼 답을 출력한다. 만약 배열이 비어 있는 경우인데 가장 작은 값.. 2021. 4. 20. ❗️[Baekjoon] 2250. 트리의 높이와 너비 # Problem 이진트리를 다음의 규칙에 따라 행과 열에 번호가 붙어있는 격자 모양의 틀 속에 그리려고 한다. 이때 다음의 규칙에 따라 그리려고 한다. 이진트리에서 같은 레벨(level)에 있는 노드는 같은 행에 위치한다. 한 열에는 한 노드만 존재한다. 임의의 노드의 왼쪽 부트리(left subtree)에 있는 노드들은 해당 노드보다 왼쪽의 열에 위치하고, 오른쪽 부트리(right subtree)에 있는 노드들은 해당 노드보다 오른쪽의 열에 위치한다. 노드가 배치된 가장 왼쪽 열과 오른쪽 열 사이엔 아무 노드도 없이 비어있는 열은 없다. 이와 같은 규칙에 따라 이진트리를 그릴 때 각 레벨의 너비는 그 레벨에 할당된 노드 중 가장 오른쪽에 위치한 노드의 열 번호에서 가장 왼쪽에 위치한 노드의 열 번호를.. 2021. 4. 20. [Baekjoon] 1991. 트리 순회 # Problem 이진 트리를 입력받아 전위 순회(preorder traversal), 중위 순회(inorder traversal), 후위 순회(postorder traversal)한 결과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위와 같은 이진 트리가 입력되면, 전위 순회한 결과 : ABDCEFG // (루트) (왼쪽 자식) (오른쪽 자식) 중위 순회한 결과 : DBAECFG // (왼쪽 자식) (루트) (오른쪽 자식) 후위 순회한 결과 : DBEGFCA // (왼쪽 자식) (오른쪽 자식) (루트) 가 된다. 입력 첫째 줄에는 이진 트리의 노드의 개수 N(1≤N≤26)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걸쳐 각 노드와 그의 왼쪽 자식 노드, 오른쪽 자식 노드가 주어진다. 노드의 이름은 A부터 차.. 2021. 4. 20. [LEET CODE] 226. Invert Binary Tree # Problem Given the root of a binary tree, invert the tree, and return its root. Constraints: The number of nodes in the tree is in the range [0, 100]. -100 TreeNode: if root: root.left, root.right = \ self.invertTree(root.right), self.invertTree(root.left) return root return None return None은 생략가능 ( 파이썬은 자동으로 None 리턴 ) # Solution 2 - 반복구조로 BFS class Solution: def invertTree(self, root: TreeNode.. 2021. 4. 20. ❗️[LEET CODE] 687. Longest Univalue Path # Problem Given the root of a binary tree, return the length of the longest path, where each node in the path has the same value. This path may or may not pass through the root. The length of the path between two nodes is represented by the number of edges between them. Constraints: The number of nodes in the tree is in the range [0, 104]. -1000 2021. 4. 20.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2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