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쉬 구조
해쉬 테이블: 키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구조
키를 통해 바로 데이터를 받아올 수 있으므로 속도가 획기적으로 빨라짐
ex) 파이선 딕셔너리 (파이썬에서는 해쉬를 별도 구현할 필요없음)
보통 배열로 미리 Hash Table 사이즈만큼 생성 후에 사용 ( 공간과 탐색을 맞바꾸는 기법)
# 알아둘 용어
해쉬 (Hash) : 임의 값을 고정 길이로 변환하는 것
해쉬 테이블 (Hash Table) : 키 값의 연산에 의해 직접 접근이 가능한 데이터 구조
해싱 함수 (Hashing Function) : 키에 대해 산술 연산을 이용해 데이터 위치를 찾을 수 있는 함수
해쉬 값 (Hash Value ) 또는 해쉬 주소(Hash Address) : 키를 해싱 함수로 연산해서 해쉬 값을 알아내고, 이를 기반으로 해쉬 테이블에서 데이터 위치를 일관성 있게 찾을 수 있음
슬롯 (Slot) : 한 개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
저장할 데이터에 대해 키를 추출할 수 있는 별도 함수도 존재할 수 있음
# hash table 만들기
hash_table = list([i for i in range(10)])
hash_table
# 간단한 해쉬 함수
다양한 해쉬 함수 고안 긱법이 있으며, 가장 간단한 방식이 Division법 (나누기를 통한 나머지값을 사용하는 기법)
def hash_func(key):
return key % 5
# 해쉬 테이블에 데이터 저장
data1 = 'Andy'
data2 = 'Dave'
data3 = 'Trump'
data4 = 'Anthor'
## ord(): 문자의 ASCII(아스키)코드 리턴
print (ord(data1[0]), ord(data2[0]), ord(data3[0]))
print (ord(data1[0]), hash_func(ord(data1[0])))
print (ord(data1[0]), ord(data4[0]))
def storage_data(data, value):
key = ord(data[0])
hash_address = hash_func(key)
hash_table[hash_address] = value
# 데이터 읽어오기
def get_data(data):
key = ord(data[0])
hash_address = hash_func(key)
return hash_table[hash_address]
# 해쉬 테이블의 장단점과 주요 용도
장점 : 데이터 저장/ 읽기 속도가 빠르다 ( 검색 속도 빠름)
중복 확인이 쉽다
단점 : 일반적으로 저장공간이 좀 더 많이 필요
여러 키에 해당하는 주소가 동일할 경우 충돌을 해결하기 위한 별도 자료구조가 필요함
주요 용도 : 검색이 많이 필요한 경우
저장, 삭제, 읽기가 빈번한 경우
캐쉬 구현시 ( 중복 확인이 쉽기 때문에) 데이터가 있는지 없는지 확인
# 해쉬 테이블 구현해보기
1. 해쉬 함수 : key % 8
2. 해쉬 키 생성 : hash(data) ( 내장 함수 )
hash_table = list([0 for i in range(8)])
def get_key(data):
return hash(data)
def hash_function(key):
return key % 8
def save_data(data, value):
hash_address = hash_function(get_key(data))
hash_table[hash_address] = value
def read_data(data):
hash_address = hash_function(get_key(data))
return hash_table[hash_address]
# 충돌(collision) 해결 알고리즘 (좋은 해쉬 함수 사용하기)
Chaining 기법(Open Hashing 기법) : 링크드 리스트 자료구조 사용해서 추가로 뒤에 연결시켜 저장
구분 위해 키 값을 함께 저장
def save_data(data, value):
index_key = get_key(data)
hash_address = hash_function(index_key)
if hash_table[hash_address] != 0:
for index in range(len(hash_table[hash_address])):
if hash_table[hash_address][index][0] == index_key:
hash_table[hash_address][index][1] = value
return
hash_table[hash_address].append([index_key, value])
else:
hash_table[hash_address] = [[index_key, value]]
def read_data(data):
index_key = get_key(data)
hash_address = hash_function(index_key)
if hash_table[hash_address] != 0:
for index in range(len(hash_table[hash_address])):
if hash_table[hash_address][index][0] == index_key:
return hash_table[hash_address][index][1]
return None
else:
return None
Linear Probing 기법 (Close Hashing 기법) : 해쉬 테이블 저장공간 안에서 충돌 문제 해결
충돌이 일어나면 해당 hash address의 다음 addess부터 맨 처음 나오는 빈공간에 저장
저장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기법
구분 위해 키 값을 함께 저장
def save_data(data, value):
index_key = get_key(data)
hash_address = hash_function(index_key)
if hash_table[hash_address] != 0:
for index in range(hash_address, len(hash_table)):
if hash_table[index] == 0:
hash_table[index] = [index_key, value]
return
elif hash_table[index][0] == index_key:
hash_table[index][1] = value
return
else:
hash_table[hash_address] = [index_key, value]
def read_data(data):
index_key = get_key(data)
hash_address = hash_function(index_key)
if hash_table[hash_address] != 0:
for index in range(hash_address, len(hash_table)):
if hash_table[index] == 0: # 중간에 빈공간이 있다는 것은 저장된 적이 없다는 것
return None
elif hash_table[index][0] == index_key:
return hash_table[index][1]
else:
return None
# 빈번한 충돌을 개선하는 기법
해쉬 함수를 재정의 및 해쉬 테이블 저장공간 확대
# 해쉬 함수와 키 생성 함수
파이썬의 hash() 함수는 실행할 때마다 값이 달라질 수 있음
유명한 해쉬함수 SHA(Secure Hash Algorithm) : 어떤 데이터도 유일한 고정된 크기의 고정값 리턴
#SHA-1
import hashlib
data = 'test'.encode()
hash_object = hashlib.sha1()
hash_object.update(data)
hex_dig = hash_object.hexdigest() # 16진수 변환
print (hex_dig)
#SHA-256 - SHA1보다 보안 향상
import hashlib
data = 'test'.encode()
hash_object = hashlib.sha256()
hash_object.update(data)
hex_dig = hash_object.hexdigest()
print (hex_dig)
# 키 생성 함수로 사용 예시
def get_key(data):
hash_object = hashlib.sha256()
hash_object.update(data.encode())
hex_dig = hash_object.hexdigest()
return int(hex_dig, 16) # key%8 해주려고
# 시간 복잡도
일반적인 경우 (충돌 없는 경우) O(1)
최악의 경우( 충돌이 모두 발생하는 경우 ) O(n)
해쉬 테이블은 일반적인 경우를 기대하고 만들기 때문에 시간복잡도는 O(1)
'Algorithm > 자료구조,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딩 + 알고리즘 완주반] 15일차. 힙 (0) | 2021.03.29 |
---|---|
[코딩 + 알고리즘 완주반] 14일차. 트리 (0) | 2021.03.28 |
[코딩 + 알고리즘 완주반] 13일차. 시간복잡도 (0) | 2021.03.27 |
[코딩 + 알고리즘 완주반] 12일차. 스택, 링크드 리스트 (0) | 2021.03.27 |
[코딩 + 알고리즘 완주반] 11일차. 배열, 큐 (0) | 2021.03.25 |